본문 바로가기

겨울, 밤, 비26

여덟 단어 를 읽으면서 너무나 공감가는 대목들이 많았기에 매 챕터마다 입을 다물 수 없었다.... #1.자존(自尊)- 모든 사람은 완벽하게 불완전하다. (사람들은 각기 다른 인생을 살아가고 있다. 유명한 사람이 있다고 해서 그 사람의 인생이 교과서나 삶의 정석은 아니다. 다만 나를 존중하고 자신의 장점을 인정하면서 살아가면 된다.) #2.본질(本質)- 모든 것은 변하지만, 아무것도 변하지 않는다(Everything changes but Nothing changes.)- 복잡한 사물의 핵심이 무엇인지 보려는 노력, 어떤 것을 보고 달려가느냐가 세상과의 싸움에서 이길 수 있는 커다란 무기이다. (나도 내 인생에서 본질을 찾아야 한다. 현재는 본질이 중요하다는 시대에 100% 공감한다. 내가 하는 모든 일에 본질을 찾는.. 2018. 4. 11.
크리톤 2018/03/09 - [겨울, 밤, 비/The Great Book] - 소크라테스의 변명 크리톤 어두운 새벽녘, 소크라테스가 갇혀 있는 감옥에 그의 친구 크리톤이 찾아 온다. 크리톤은 소크라테스에게 여러 가지 이유를 들며 탈옥을 권유한다. 소크라테스는 탈옥을 해야할지 말아야 할지에 대하여 크리톤과 함께 고민하고 결정하기로 한다. 하지만 결국 자신이 세운 원칙을 따라 국법을 지키기로 마음 먹고 신이 이끄는 대로 따라가려고 한다. "나쁜일을 해서는 안 된다.""비록 누군가 우리에게 어떤 악을 행하더라도 우리는 누구에게도 보복을 하거나 악을 악으로 갚아서는 안 된다.""인간은 자신이 옳다고 인정하는 일을 해야한다.""나를 태어나게 하고 양육하고 교육시킨 국가이기에 국가와의 약속(법)을 파기하고 그 나라의 법.. 2018. 3. 9.
소크라테스의 변명 소크라테스의 변명 소크라테스는 다음과 같은 죄목으로 고발당하였다. 당시 소크라테스가 살았던 시대는 아테네의 민주주의가 부패하고, 소피스트들이 득세하던 시기이다. 소피스트들은 참된 진리, 지식에 관심을 쏟기보다는 수사학-사람을 논리로서 설득함-을 이용하여 이익을 추구하는 데 관심이 있었던 사람들이다. 그는 이러한 상황 속에서 아테네 사람들을 구하고자 자신의 일은 전혀 돌보지 않고 맞닥뜨리는 많은 사람들에게 참된 진리를 찾을 수 있도록 일깨워 주는 일을 하였다. 자신의 양심에 충실하여 자기의 소신을 말하고 실천하는 그를 많은 청년들이 따르게 되었고 지배계층은 이런 소크라테스를 경계할 수밖에 없었다. 그럼에도 소크라테스는 아테네 시민을 인간의 이성에 눈뜨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여기고 이와 같은 활동을 계속했기.. 2018. 3. 9.
미국 독립 선언서 미국 독립 선언서 존 트럼불 - 독립 선언 미국 독립 선언서는 영국의 ‘권리장전’, ‘프랑스 인권 선언’과 함께 인간의 역사에서 인권을 선언한 중요한 문서로 손꼽히고 있다. 1775년 제 2차 대륙 회의에서 벤저민 프랭클린, 존 애덤스, 로저 셔먼, 로버트 리빙스턴, 토머스 제퍼슨의 다섯 사람이 독립 선언서 기초 작성을 했고, 1776년 7월 4일 13개 식민지의 대표자들은 미국 독립 선언서에 서명을 하고 독립을 선포했다. “모든 사람은 평등하게 태어났고,창조주는 몇 개의 양도할 수 없는 권리를 부여했으며,그 권리 중에는 생명과 자유와 행복의 추구가 있다.” 18세기 유럽은 근대 철학(로크의 자연권, 루소의 사회계약설, 계몽사상 등)이 발전하고 있는 시대이면서 한편으로는 대부분의 유럽 국가가 전제군주제인.. 2018. 3. 9.
The Great Book Program The Great Book Program 에디슨, 처칠, 아인슈타인은 초등교육과정을 실패한 저능아로 매도되었다. 그러나 그들의 주변에는 휼륭한 지도자가 있었을 것으로 판단되며 특히 위대한 어머니들의 독서교육이 그들을 천재로 만들었다고 한다. 에디슨은 초등학교 교과서도 이해를 못해 저능아로 판명되어 학교에서 중퇴한 아이인데 스스로 읽었겠는가? 사람들은 오히려 애를 힘들게 한다고 말리곤 했지만, 그 뒤엔 어머니의 끊임없는 노력이 있었을 것이라 생각한다. 노벨 문학상을 받고, 영국 수상을 지냈던 처칠이 10대 중반에는 지진아였다고 하는데, 사교계 유명인사로 거의 만나지 못했던 어머니를 찾아가 “학교 아이들은 나를 따돌리고 선생님은 툭하면 나를 천하의 멍청이라고 한다며 죽고 싶다. 달리는 기차 앞으로 뛰어들고 .. 2018. 3. 8.
벤저민 프랭클린의 13가지 덕목 벤저민 프랭클린 *Benjamin Franklin(1706.1.17 ~ 1790.4.17) *미국의 과학자 겸 정치가 프랭클린의 13가지 덕목 벤저민 프랭클린의 자서전을 살펴보면 다음의 내용이 있다.'나는 50년 이상을 나의 수첩에 13가지 덕목을 항상 기록해 왔다. 그리고 이 항목들을 실행했는가, 하지 못했는가를 체크했다. 게다가 1주일마다 13가지 덕목 중 한가지를 집중적으로 실천하려고 노력했다... 내가 항상 행복한 인생을 걸어올 수 있었던 것은 이 수첩 덕분이었다. 후손들에게도 알려주고 싶다.' 이 내용을 알게 된 이후로 습관의 위대함을 알 수 있었고, 나 또한 내 나름대로 수첩에 정리하면서 덕목들을 지키려고 노력해왔다. 13가지 각각의 덕목들은 그대로 유지하였지만, 덕목들의 세부내용은 현재의 나.. 2018. 3.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