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146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투표사무원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투표사무원 2018.6.13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투표사무원을 맡았다. 선거 전날 사전교육을 받고 몇 가지 주의사항에 대하여 알게 되었다.몇 가지 기억에 남는 주의사항이 있었는데 - 미취학 아동은 기표소 안에 들어갈 수가 있고 초등학생은 투표소에서 기다려야 한다. 과연 어떤 연유로 이러한 규정이 생겼을까 혼자 고심해 보았다. 4학년 때 선거에 대하여 배우니 혹시나 부모님의 투표 행사 하시는 모습을 보게 되면 눈치 빠른 아이들은 부모님의 정치적인 성향까지도 파악해서일까? 아니면 선거권자로써 부모님들의 비밀투표원칙을 지켜주기 위해 초등학생부터는 못 들어가게 한 것일까? 이런 어처구니 없는 생각들을 혼자 했다. - 품에 안을 수 있는 작은 애완동물은 예외적으로 허용 가능하나 원칙적으로.. 2018. 6. 18. 리틀 포레스트 리틀 포레스트 낙향하신 아버지는 직장 일을 마치고 소일거리로 텃밭을 가꾸신다.최근에 전화통화를 할 때마다 첫 마디는 항상 "밭에 있다." 이다.더운데 너무 밭에 자주 가시는 게 아니냐고 걱정을 하면 그저 "허허"일 뿐 발걸음은 항상 그 곳으로 향하신다. 최근에 아버지댁을 방문하였는데 내가 생각하는 것 이상으로 훨씬 잘 가꾸시고 계셨다.깔끔하게 구역을 잘 나누어 이랑을 일구고 지지대를 세우고 망을 잘 쳐놓았다.아버지의 텃밭을 본 아내는 마치 영화 리틀 포레스트의 실사판을 보는 것 같다고 놀람과 감탄을 그치지 못했다. 하루가 다르게 자라가는 녀석들을 보는 재미가 쏠쏠하신가 보다.나고 자란 고향에서 식물들을 기르고 돌보는 것이 아버지께서는 그렇게 좋으신가 보다.심으신 식물들도 참 많다. 고추, 땅콩, 감자, .. 2018. 6. 18. 공산당 선언 공산당 선언 지금의 우리 사회는 표면적으로는 계급이 없다. 그러나 사람들이 체감하는 계급은 존재한다. 최근에 많은 사람들에게 이슈가 되었던 바로 수저계급론. 부모의 뒷받침이나 재산 수준에 의하여 결정되는 수저론은 많은 사람들의 공감대를 샀으며 자신에게 맞는 수저를 찾아보며 어떤 이에게는 안도감을, 어떤 이에게는 씁쓸함을 남기기도 했다. 오늘날의 우리는 자본주의 세계에서 살고 있다. 무엇보다도 소득과 부를 최고의 가치로 여기고 높은 소득을 올리는 사람(물론 정상적인 방법)을 훌륭하게 바라본다. 자본주의가 태동한 이래로 현재까지 소수의 엘리트들이 대부분의 부를 움켜쥐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는 점차 확산되어 간다. 사회는 자유 민주주의의 기치 아래 개인의 자유와 권리를 합법적으로 보장해 준다고 말한다. 하지만 .. 2018. 6. 15. 초상화(16.09.05) 초상화 수업을 마치고 숨을 돌리고 있는데 한 아이가 내게 다가온다. "선생님, 테이프 좀 빌려줄 수 있어요?""어떤 테이프? 양면 테이프? 단면 테이프?""음.. 단면테이프요!""알겠어. 잠깐만 기다려 줄래?""자, 여기 있다.""고맙습니다." 그러더니 잽싸게 자기 자리로 돌아간다.나는 무언가가 떨어져서 붙이려고 테이프를 빌리는 것인가 싶었다.그리고 다시 나의 컴퓨터 화면을 보려는 순간그 아이가 다시 내 앞에 다가왔다. "선생님 여기요.""이게 뭐지?""나중에 보세요."라는 말과 함께 다다다 복도 쪽으로 사라진다. '이게 뭐지?'라는 호기심과 함께자세히 살펴보니 종이를 둘둘 말아서 테이프를 붙여놓은 것이었다.처음에는 웬 편지를 썼나 싶었다.하지만 말린 종이를 펴보니짜잔.... 나를 그린 그림이었다.나의 .. 2018. 6. 15. 수업 시간에 듣게 하려면(16.08.02) 수업 시간에 듣게 하려면 수업시간에 한 학생이 일어서서 자신의 생각을 발표한다.자연스레 아이들이 듣고 있을 것이라고 기대하며 둘러보지만몇 초 뒤의 내 생각은 처참하게 무너진다. 발표를 하면 아이들이 마냥 경청해주기를 바랬다.하지만 돌이켜 생각해보면 그것은 멍청한 생각이었다.참으로 멍청한 바람이었다.'나'조차도 학창시절을 떠 올려보면사실은 아주 어려운 일이었는데..왜 나는 아이들이 나도 하지 않았던 일을 하기를 바라는 것일까? 아이들을 듣게 만들려면 내가 멍하게 있으면 안 된다.아이들에게 무엇을 해주어야 한다. 아이들로 하여금 남의 말을 귀담아 듣도록 하기 위해서는,거저 듣고 있게만 해선 안 된다.어떤 형태로든지 듣고 느낀 바, 생각한 바를 나타내도록 하여야 한다.그 방법의 하나가 바로!!O,.. 2018. 6. 12. 아버지와 술 한 잔 아버지와 술 한 잔 가족끼리 식사를 할 때 아버지와 반주 한 잔 정도는 자주 했다.단순히 밥을 먹을 때 곁들여 먹을 뿐이지 술 한 잔이 이야기로 이어진 적은 없었다.그냥 일상적인 얘기, 시시콜콜한 얘기들만 나눴을 뿐이다. 그 동안 나와 아버지는 서로에게 말들을 아껴왔다.초등학교 고학년부터 5년의 시간 동안 아버지는 타지에서 일을 하셨고사춘기에 접어든 나는 아버지의 부재에 맞닥뜨려야 했다. 이 기간이 지금의 내게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는 잘 모르겠다. 분명한 것은 나는 아버지와 속 깊은 대화를 잘 하지 못했다는 사실이다. 성인이 되고 나서야 생각이 든다.왜 나는 마음 속 말들을 전해지 못했을까?아버지는 왜 내게 이런 말씀들을 진작 하지 않으셨을까?항상 무뚝뚝하시던 우리 아버지가 오늘은 참 말씀이 길다.나의 .. 2018. 6. 11. 여름방학(16.07.23) 방학 2016년 3월 1일, 첫 발걸음을 뗀 후로다사다난했던 1학기의 대장정이 어제야 마무리 되었다.홀가분하기도 하고 찝찝하기도 하고벌써 다음 학기가 기대되기도 하고 걱정되기도 한 것이 참 심란하다.방학이기에 무작정 좋을 줄만 알았는데 그건 아닌 것 같다. 올 한 해를 시작할 때 들었던 생각 중에 가장 큰 것은 아이들을 따라 올라간다는 것이었다.1년 동안 함께 지낸 아이들이라서 잘 알고 있다는 장점이 물론 있었지만익숙함이 자칫 지루함으로 바뀔 수 있다는 결점을 가지고 있었기에반신반의 한 채로 그렇게 3월을 시작하였다. 나는 작년에 분명히 이 아이들을 가르쳤고 올해도 가르쳤다.보통은 함께 지내면 그 변화를 눈치 채기가 어렵다고들 한다.매일매일 조금씩 자라는 모습을 느끼기는 어렵지만문득문득 보게 되는 것들은.. 2018. 6. 9. 고무판화(16.06.22) 고무판화 작년에 엄두도 못낸 판화를 드디어 시도하게 되었다.사실 고무판화를 하기에는 부담이 컸다.교실이 난장판이 되진 않을까?잉크가 옷이나 손, 얼굴에 튀지는 않을까?조각도를 사용하다가 혹시나 다치진 않을까? 등등.. 그래서 만반의 준비를 했다..위 사진처럼 두 개의 책상 주변에 수많은 신문지를 테이프로 단단히 고정시켰다.그리고 교사용 책상에도 최대한 어지럽혀지지 않도록 신문지를 깔고 비닐로 씌우기도 하였다.적당량의 잉크와 바니쉬를 섞어 찍을 수 있는 농도로 만들고아이들과 함께 고무판을 찍어보았다. (작업에 열중하느라 과정을 찍지 못한 점이 아쉽다.) 아이들의 작품아이들이 밑그림부터 찍기에 이르기까지 모든 과정을 열심히 해 준 덕분에대부분의 작품들이 잘 나왔다.양각의 효과를 잘 살린 아이들도 있고.. 2018. 6. 8. 전학(16.06.15) 전학 오늘부터 장마가 시작된다고 한다.장마가 시작되는 이 맘 떄에는 우중충한 하늘을 보는 것이 별로 내키지 않는다.왜냐하면 가슴 아픈 기억이 떠올라서 괜히 울적해지기 떄문이다. 지금으로부터 3년 전,나의 의무를 다하기 위해 4개월도 채우지 못한 채 내가 맡은 첫 아이들과 헤어졌다.눈물바다였던 그 날이 떠올라서인지, 아니면 이 맘떄에 입대를 해서인지이 무렵은 왠지 슬프다. 오늘도 또 한 번의 이별을 맞이하게 되었다. 전학. 내가 보내는 첫 번쨰 전학이다.안 그러리라 다짐했는데 괜스레 울적해진다.떠나보내는 아이들의 눈물을 보아서일까?그 아이를 위한 편지를 쓰면서 그 아이와의 추억이 떠올라서일까? 사진 한 장으로 아이들은 추억을 곱씹을 수 있을까?이 날을 기억할 수 있을까? 이별은 끝이 아니라 시작이라는 말을.. 2018. 6. 7. 편람(Enchiridion) 편람(Enchiridion) 자기 자신의 주인이 되지 못하는 사람은 진정으로 자유로울 수 없다. -에픽테토스- 다가올 새 학기를 앞둔 2월, 학교에서는 학년과 담당업무를 정해야 하기에 마음이 뒤숭숭해진다. 나의 일 년을 결정하는 순간이라서 어쩌면 혹자는 학교에서 지내는 일 년 중에 이 맘 때가 가장 중요한 시기라고 생각할 수도 있다. 한 가지 분명한 것은 모든 교사들이 원하는 대로 업무와 학년은 배정되지 않는다. 사람들이 선호하는 업무와 학년이 대체로 비슷하고 마음에 드는 것들의 개수는 한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인근의 비슷한 학교에 근무하고 있는 A와 B. 두 사람은 각자의 학교에서 내야할 지원서에 같은 학년과 같은 업무를 쓰게 되었다. 아마도 두 사람의 경력과 근무환경, 생각이 비슷한 것 같다. 며칠이.. 2018. 6. 3. 이전 1 2 3 4 5 6 7 8 ··· 15 다음